분류 전체보기(21)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상태 객체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는 그 시점까지 객체에 어떤 일이 발생했느냐에 좌우된다. 모든 객체의 상태는 단순한 값과 객체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객체의 상태를 구성하는 모든 특징을 통틀어 객체의 프로퍼티 (property) 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퍼티는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정적이다. 반면 프로퍼티 값 (property value)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동적이다. 객체와 객체 사이의 의미있는 연결을 링크 (link) 라고 한다. 객체와 객체 사이에는 링크가 존재해야만 요청을 보내고 받을 수 있다. 즉, 객체의 링크를 통해서만 메세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링크는 객체가 다른 객체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한 객체가..
2019.04.01 -
C 프로그래밍 : 구조체와 사용자 정의 자료형
1.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고 return 문에 의해 반환되는 구조체 변수 1. 함수의 인자로 구조체 변수가 전달될 수 있고, 인자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조체 변수가 매개변수의 선언으로 올 수 있다. 전달되는 구조체 변수의 값은 매개변수에 통째로 복사된다. 2. 구조체 멤버로 배열이 선언되어도 동일한 형태로 배열이 통째로 복사된다. 3. 구조체의 포인터 변수도 매개변수로 선언되면 Call-by-reference 형태의 함수호출을 구성할 수 있다. 2. 구조체 변수를 대상으로 가능한 연산 1. 구조체 변수를 대상으로는 매우 제한된 형태의 연산 (대입연산, 주소값 반환을 목적으로 하는 &연산이나 구조체 변수의 크기를 반환하는 sizeof 연산 정도만 허용) 만 허용이 된다. 2. 구조체 변수 간 대입 연산의..
2018.10.01 -
새로운 STP를 수립하자, 퍼소나를 만들자
퍼소나를 설정하자 마케팅의 궁극적인 목적은 많은 결제와 매출을 유도하는 것이지만 퍼소나를 그리는 목적은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서비스를 더 잘 사용하게 할까? 에 대한 고찰이다. 고객에게 물어보지 않고, 고객의 행동 패턴을 읽어내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고객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를 그려낼 수 있을 때 우리는 고객이 기뻐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고객 데이터를 한 덩어리로 잡아 평균에 맞춘 형태로 그려내면 그것은 완전한 퍼소나가 될까? 다른 놓치는 부분들이 아쉬워 여러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퍼소나를 만들어 내면 이도 저도 아닌 퍼소나가 되지는 않을까? 이상적인 고객상을 단 한명으로 정하면 불특정 다수는 배제하게 되어 매출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
2018.10.01 -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1. 실행 전 캠페인의 목표와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캠페인을 실행하기 전, 캠페인의 목적과 방향성에 대하여 명확히 인지하고, 대략적인 지표의 항목을 설정하여 개선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다. 개선 이전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적인 추론과 가설로 캠페인을 진행하면 제대로된 성과 분석이나 A/B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2. 지속적인 마케팅 성과 측정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마케팅은 매출과 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편이다. 따라서 캠페인을 진행하고 광고를 집행할 때에는 예산을 설정하고 계획하는 데 있어서 비용 대비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우리 서비스 같은 경우에는 지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의 목표를 결정하고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업무..
2018.10.01 -
시장 세분화와 페르미 추정에 대한 정리
마케팅에 있어서 시장 세분화의 논리적 근거는 소비자의 취향과 행동, 비슷한 니즈를 가진 소비자를 그룹으로 나눠 각각의 그룹에 맞는 마케팅 믹스를 차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마케팅믹스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집단을 분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단순히 고객의 산업군이나 데모그래피에 의존하는 일차원적 타겟팅은 기술 수용 주기와 도달률을 고려하면 효율성이 매우 낮다. 하나의 고객 세그먼트 안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의 형태나 도입 과정등이 다르고, 결과적으로 타겟팅이 유효한 고객의 숫자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고객 정보보다는 고객의 구매 동기에 주목하여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이때 세분시장을 선택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다. - 세분시장..
2018.10.01 -
TAM-SAM-SOM 에서 퍼소나 설정까지 (2)
결국 TAM-SAM-SOM 접근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초기 단계에 수익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생존 시장 발견 능력을 숫자로 입증하는 것이다. 단순히 TAM과 SOM의 중간점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시작점이 어떤 규모인지, 최소한의 생존력을 견뎌내면 궁극적으로 얼마나 확장 가능한지를 알고 싶은것이다. 대부분의 VC들은 최소한의 시작점, 즉 우리가 생각하는 거점 시장에서 지배력을 확보해야 인접시장을 공략할 기회와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일단 Service Obtainable Market에 진입하기전, 또는 진입을 했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거점 시장을 충분히 점유하고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거점시장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집단은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의..
2018.10.01